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05-26 11:15 조회130회관련링크
본문
지난해 시니어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은 718억원이다. 이는 유아(510억원)와 펫(117억원)을 합한 투자 유치액 627억원보다 많은 수치다.
시니어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은 2016년에만 해도 '0'원에 불과했다. 이후에도 3000만~6000만원 정도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0년 갑자기 58억원으로 늘더니 지난해 718억원으로 4년 새 1138%(약 12배)나 뛰었다.
반면 같은기간 유아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은 2020년 1316억원에서 지난해 510억원으로 61.3% 감소했다. 펫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 역시
2020년 684억원에서 지난해 117억원으로 4년 새 83% 줄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빠르게 진입해 관련 스타트업도 청업이 늘어나고 있고, VC업계도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차지했다. 국민 5명 중 1명이 '고령층'으로, 노인 인구 비중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처음 진입한 것이다.
앞서 통계청도 2035년엔 노인인구 비중이 30%,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증가하고 있는 고령 인구에 따라 실버 산업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시니어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은 2016년에만 해도 '0'원에 불과했다. 이후에도 3000만~6000만원 정도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0년 갑자기 58억원으로 늘더니 지난해 718억원으로 4년 새 1138%(약 12배)나 뛰었다.
반면 같은기간 유아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은 2020년 1316억원에서 지난해 510억원으로 61.3% 감소했다. 펫 스타트업 투자 유치액 역시
2020년 684억원에서 지난해 117억원으로 4년 새 83% 줄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빠르게 진입해 관련 스타트업도 청업이 늘어나고 있고, VC업계도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차지했다. 국민 5명 중 1명이 '고령층'으로, 노인 인구 비중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처음 진입한 것이다.
앞서 통계청도 2035년엔 노인인구 비중이 30%,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증가하고 있는 고령 인구에 따라 실버 산업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